카테고리 없음
시진핑이 트럼프의 당선을 반기는 이유 - 박종훈 소장 (박종훈의 지식한방)_By Lilys AI
꿈꾸는 투자자2
2024. 11. 15. 20:18
반응형
https://youtu.be/6UUX8Cuz1eg?si=N6y6wy7gOJYACRJA
목차
이 콘텐츠는 양안 관계와 관련된 중국과 대만의 복잡한 정세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대만을 통제하려는 중국의 심리전, 경제 및 군사적 갈등 상황이 포괄적으로 설명됩니다. 특히 트럼프 시대의 영향으로 대만과 미국 간의 갈등이 고조될 가능성이 언급되며, 트럼프의 당선이 중국의 대만 침공 전략에 미칠 수 있는 위협 요소와 기회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독자가 국제 정치의 변화와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및 사회적 영향에 대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1]
핵심 용어
- 양안 관계: 양안 관계는 중국과 대만 간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관계를 의미합니다. 양안은 '두 평행선을 의미하는' 양(2)과 '안'이란 단어가 합쳐져, 두 나라 사이의 긴장 상태를...
1. 서론 🎯 중국의 대만 심리전 목표와 그 의도00:00:00 (7초)

- 중국은 대만을 심리전을 통해 사실상 통제하고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1]
- 이러한 목표는 크림반도와 유사한 방식으로 대만을 지배하고자 하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 .[1-1]
- 이는 전체 국제정세와 연결된 중국의 대만 통제 전략의 일부이다 .[1-1]
2. 🧩 트럼프 시대 양안 관계의 변화와 영향00:00:07 (1분)

- 트럼프가 등장하면서 대만이 미국에 보호비를 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며, 미국과 대만의 갈등을 유발하는 단계가 되었고 이는 쉽게 진행될 수 있었다 .[2-1]
- 시진핑 주석은 트럼프와 대만의 관계가 틀어지기를 기대하며, 경제보다는 대만을 손에 넣는 것이 권력 유지에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2-4]
- 트럼프 집권 시기에 대만을 둘러싼 정치적 및 경제적 전략을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시진핑의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트럼프의 당선이 어떻게 예상되었는지가 주제로 언급되었다 .[2-7]
- 저자 박종훈은 트럼프의 당선을 예측한 내용을 책으로 출판했으나, 실제 결과와 일치하지 않아 출판에 어려움을 겪었다 .[2-12]
- 저자는 인쇄소와의 어려운 과정을 통해 대선 전날 인쇄를 끝내고, 책을 대형 서점에 출시했다 .[2-17]
3. 🎯 트럼프 당선 전후의 여론조사와 그 변동 요소00:02:06 (2분)

- 트럼프는 해리스의 TV 토론 이후 여론조사 결과가 변동했다는 상황에 놓였다 .[3-3]
- 미국 CBS 방송의 여론조사는 설문지 항목을 59개로 구성하여, 많은 설문자들이 설문 참여를 포기하게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트럼프 지지자들의 의견이 여론조사에 잘 반영되지 않았다 .[3-4]
- 설문지에는 해리스에 대한 우호적인 질문이 많았고, 트럼프의 논란이 되는 발언들에 대한 질문도 포함되어 있었다 .[3-7]
- 일부 질문 때문에 트럼프 지지자들이 중간에 참여를 끊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들이 여론조사에서 배제되었다 .[3-16]
- 전수 조사를 통해 트럼프가 여론조사에서 독보적으로 유리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이는 유튜브 콘텐츠를 통해 발표되었으나 당시 많은 비난을 받았다 .[3-27]
4. 🌍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과 경제적 제약00:04:42 (7분)

- 패권 국가가 되기 전의 경제 불황은 중국 지도자에게 견디기 힘든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4-2]
- 중국 경제는 향후 4~6년 내에 큰 하락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대만 침공 위험 시점이 2026~2028년경으로 추정되는 이유가 된다 .[4-6]
- 중국은 식량과 에너지 자급자족에 취약하며, 전쟁 시 서방 제재에 대해 러시아처럼 버틸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4-51]
- 러시아산 석유는 중국 수입 석유의 20%밖에 차지하지 않으며, 나머지 80%는 중동을 통해 들어온다 .[4-60]
- 중국 정부는 식량 자급을 위해 대규모 농업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이는 식량 안보가 최우선이라는 전략을 반영한다 .[4-65]
5. 🔍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과 지리적, 경제적 요인 분석00:12:14 (16분)

- 미국의 패배는 불가피하며 대만과 민주국을 함께 점령하는 것이 중국의 역전 기회로 추정된다 .[5-1]
- 대만을 점령하더라도 TSMC의 물리적 시설만 확보하는 것은 기존 기술력에 대한 충분한 기여는 아니다 .[5-45]
-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지 않고 통일할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는 경제적, 심리적 불안 요인을 통해 유도하는 일부 심리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5-104]
- 송유관 건설 등과 관련된 중국의 행보는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전력으로 전환하여 전쟁 준비를 가능케 하려는 계획적 조치로 해석된다 .[5-36]
- 중국은 무력 침공보다는 현재 심리전을 통해 대만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는 전략을 2029년까지 완성할 계획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5-143]
5.1. 중국의 대만 침공 전략적 목표
00:12:14 (38초)
- 중국은 미국과의 경쟁에서 역전의 기회로 대만을 손에 넣고 TSMC를 확보하는 것을 고려한다 .[5-2]
- 대만 침공 시 필요한 물자들을 공급받기 위한 별도의 루트를 마련하려는 목적이 있다 .[5-3]
- 이러한 물자 공급 루트의 확보는 중국의 대만 침공 전략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요소로 분석된다 .[5-3]
5.2. 미얀마 송유관 프로젝트와 중국의 전략적 딜레마
00:12:53 (2분)
- 미얀마는 중국과의 국경을 통해 송유관을 구축했으나, 고이자 차관을 빌려 건설된 이 송유관은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5-6]
- 송유관의 구축 목적은 물라카 해협을 우회하기 위함이었으나, 물라카 해협이 더 경제적이기 때문에 중국은 이 송유관을 사용하지 않는다. [5-16]
- 군부 쿠데타 이후 미얀마는 중국에게 경제적으로 의존적이지만, 송유관 사용은 거의 없어서 미얀마는 재정적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 [5-8]
- 인도-중국 관계 악화와 더불어 중국의 해군 역량 부족은 송유관을 통한 석유 수송을 어렵게 만든 주요 요인 중 하나다. [5-32]
- 중국은 미래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전기차와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을 계획하고 있지만, 이는 완전히 실현되지 않았으며 시기도 예상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 [5-36]
5.3. 중국의 대만 침공 시나리오와 기술적 제약
00:15:40 (2분)
- 중국이 대만을 침공해도 TSMC를 물리적으로 점령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5-43]
- 성공적인 점령을 위해서는 인적 자원을 포함한 수많은 소프트웨어 자원들이 필요하다. [5-47]
- 침공 시, 기술 인력은 미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으며, 기술적 이점을 잃게 될 것이다. [5-51]
- 시진핑 주석은 경제 상황을 외부로 돌려 대내적 불만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5-55]
- 군사적 침공은 최후의 수단으로 보고 있으며, 실제 전쟁보다는 대만의 혼란과 분열을 초래하려고 준비하고 있다. [5-58]
5.4. 대만 내부의 긴장과 심리전의 영향
00:17:48 (7분)
- 대만 내부에서는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경제적으로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을 인정하고 있다 .[5-62]
- 이란과 중국 사이의 송유관 건설은 국제 정세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추정된다 .[5-68]
- 중국은 대만을 무력 침공하기보다 심리전을 통해 통일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으며, AEI와 ISW는 4단계의 심리전 작전을 소개하였다 .[5-104]
- 많은 대만인들이 경제적 안정성을 위해 친중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를 중국은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5-124]
- 심리적 불안을 통해 대만의 정책 방향에 영향을 주려는 심리전은 경제적 문제를 부각시키고, 대만인들을 친중으로 유도할 전략이 될 수 있다 .[5-140]
5.5. 중국의 전쟁 준비와 정치적 전략 예측
00:25:43 (3분)
- 중국은 2029년에서 2031년 사이에 군사적 침공 준비를 마칠 것으로 예상된다. [5-143]
- 중국은 2029년까지 반도체, 로보틱스, AI 자립을 완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는 군사 준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5-150]
- 중국은 크림반도와 유사하게 대만을 점령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삼아 심리전을 활용할 계획이다. [5-157]
- 미국과 대만 사이의 갈등 조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치적 이익을 고려하고 있으며, 시진핑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유리한 상황일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5-163]
- 중국은 경제보다 권력 유지를 더 중요시하며 소프트 파워를 통해 대만을 점령하는 방법을 모색 중이다. [5-169]
6. 🇹🇼 대만 내 정치적 갈등 및 여론의 동향00:28:47 (9분)

- 대만에서는 민진당과 국민당의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며, 국민당 의원들 중 일부가 친중 성향을 보이고 이는 대만의회에서 극심한 대립을 유발했다 .[6-2]
- 민진당에서 총통이 배출되었지만, 대만의회는 국민당이 다수당으로 군사기밀 접근 권한을 확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6-10]
- 국민당 내 친중성향 의원들로 인해 대만의 군사 기밀이 중국으로 유출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6-20]
- 중국의 군사적 준비와 정치적 압박으로 인해 대만 내부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는 대만 국민들의 여론과 국제 정치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6-25]
- 대만의 정치적 분열은 국제 무역 및 군사 전략에 대해 미국과 한국에 심각한 경제적, 안보적 도전 과제를 제기할 수 있다 .[6-32]
7. 결론 🌍 한국의 외교적 선택과 방향성00:38:27 (-28초)

- 한국은 중국과 미국의 관계 속에서 외교적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7-3]
- 네덜란드는 1차 세계대전 당시 중립을 유지하며 양측과 교역했지만, 한국은 역사적으로 그런 선택을 해 본 적이 없다. [7-5]
-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은 한국에 유리했으나, 바이든 정부는 한국 공장을 미국에 유치하여 경제적 도전에 직면하게 했다. [7-40]
- 트럼프가 다시 당선될 경우, 한국은 경제적 압박을 피하기 위해 창의적이고 실속 있는 외교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 [7-47]
- 대한민국은 현재 경제적 손실을 막기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하며, 모든 관계자들이 모여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7-6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