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시진핑이 트럼프의 당선을 반기는 이유 - 박종훈 소장 (박종훈의 지식한방)_By Lilys AI

꿈꾸는 투자자2 2024. 11. 15. 20:18
반응형

https://youtu.be/6UUX8Cuz1eg?si=N6y6wy7gOJYACRJA

목차

 

이 콘텐츠는 양안 관계와 관련된 중국과 대만의 복잡한 정세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대만을 통제하려는 중국의 심리전, 경제  군사적 갈등 상황이 포괄적으로 설명됩니다. 특히 트럼프 시대의 영향으로 대만과 미국 간의 갈등이 고조될 가능성이 언급되며, 트럼프의 당선이 중국의 대만 침공 전략에 미칠 수 있는 위협 요소와 기회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독자가 국제 정치의 변화와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및 사회적 영향에 대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1]
핵심 용어
  • 양안 관계: 양안 관계는 중국과 대만 간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관계를 의미합니다. 양안은 '두 평행선을 의미하는' 양(2)과 '안'이란 단어가 합쳐져, 두 나라 사이의 긴장 상태를...

1. 서론 🎯 중국의 대만 심리전 목표와 그 의도00:00:00 (7초)

  • 중국은 대만을 심리전을 통해 사실상 통제하고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1]
  • 이러한 목표는 크림반도와 유사한 방식으로 대만을 지배하고자 하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 .[1-1]
  • 이는 전체 국제정세와 연결된 중국의 대만 통제 전략의 일부이다 .[1-1]

 

2. 🧩 트럼프 시대 양안 관계의 변화와 영향00:00:07 (1분)

  • 트럼프가 등장하면서 대만이 미국에 보호비를 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며, 미국과 대만의 갈등을 유발하는 단계가 되었고 이는 쉽게 진행될 수 있었다 .[2-1]
  • 시진핑 주석은 트럼프와 대만의 관계가 틀어지기를 기대하며, 경제보다는 대만을 손에 넣는 것이 권력 유지에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2-4]
  • 트럼프 집권 시기에 대만을 둘러싼 정치적 및 경제적 전략을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시진핑의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트럼프의 당선이 어떻게 예상되었는지가 주제로 언급되었다 .[2-7]
  • 저자 박종훈은 트럼프의 당선을 예측한 내용을 책으로 출판했으나, 실제 결과와 일치하지 않아 출판에 어려움을 겪었다 .[2-12]
  • 저자는 인쇄소와의 어려운 과정을 통해 대선 전날 인쇄를 끝내고, 책을 대형 서점에 출시했다 .[2-17]

 

3. 🎯 트럼프 당선 전후의 여론조사와 그 변동 요소00:02:06 (2분)

  • 트럼프는 해리스의 TV 토론 이후 여론조사 결과가 변동했다는 상황에 놓였다 .[3-3]
  • 미국 CBS 방송의 여론조사는 설문지 항목을 59개로 구성하여, 많은 설문자들이 설문 참여를 포기하게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트럼프 지지자들의 의견이 여론조사에 잘 반영되지 않았다 .[3-4]
  • 설문지에는 해리스에 대한 우호적인 질문이 많았고, 트럼프의 논란이 되는 발언들에 대한 질문도 포함되어 있었다 .[3-7]
  • 일부 질문 때문에 트럼프 지지자들이 중간에 참여를 끊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들이 여론조사에서 배제되었다 .[3-16]
  • 전수 조사를 통해 트럼프가 여론조사에서 독보적으로 유리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이는 유튜브 콘텐츠를 통해 발표되었으나 당시 많은 비난을 받았다 .[3-27]

 

4. 🌍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과 경제적 제약00:04:42 (7분)

  • 패권 국가가 되기 전의 경제 불황은 중국 지도자에게 견디기 힘든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4-2]
  • 중국 경제는 향후 4~6년 내에 큰 하락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대만 침공 위험 시점이 2026~2028년경으로 추정되는 이유가 된다 .[4-6]
  • 중국은 식량 에너지 자급자족에 취약하며, 전쟁 시 서방 제재에 대해 러시아처럼 버틸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4-51]
  • 러시아산 석유는 중국 수입 석유의 20%밖에 차지하지 않으며, 나머지 80%는 중동을 통해 들어온다 .[4-60]
  • 중국 정부는 식량 자급을 위해 대규모 농업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이는 식량 안보가 최우선이라는 전략을 반영한다 .[4-65]

 

5. 🔍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과 지리적, 경제적 요인 분석00:12:14 (16분)

  • 미국의 패배는 불가피하며 대만과 민주국을 함께 점령하는 것이 중국의 역전 기회로 추정된다 .[5-1]
  • 대만을 점령하더라도 TSMC의 물리적 시설만 확보하는 것은 기존 기술력에 대한 충분한 기여는 아니다 .[5-45]
  •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지 않고 통일할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는 경제적, 심리적 불안 요인을 통해 유도하는 일부 심리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5-104]
  • 송유관 건설 등과 관련된 중국의 행보는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전력으로 전환하여 전쟁 준비를 가능케 하려는 계획적 조치로 해석된다 .[5-36]
  • 중국은 무력 침공보다는 현재 심리전을 통해 대만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는 전략을 2029년까지 완성할 계획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5-143]
5.1. 중국의 대만 침공 전략적 목표

00:12:14 (38초)

  • 중국은 미국과의 경쟁에서 역전의 기회 대만을 손에 넣고 TSMC를 확보하는 것을 고려한다 .[5-2]
  • 대만 침공 시 필요한 물자들을 공급받기 위한 별도의 루트를 마련하려는 목적이 있다 .[5-3]
  • 이러한 물자 공급 루트의 확보는 중국의 대만 침공 전략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요소로 분석된다 .[5-3]
5.2. 미얀마 송유관 프로젝트와 중국의 전략적 딜레마

00:12:53 (2분)

  • 미얀마는 중국과의 국경을 통해 송유관을 구축했으나, 고이자 차관을 빌려 건설된 이 송유관은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5-6]
  • 송유관의 구축 목적은 물라카 해협을 우회하기 위함이었으나, 물라카 해협이 더 경제적이기 때문에 중국은 이 송유관을 사용하지 않는다. [5-16]
  • 군부 쿠데타 이후 미얀마는 중국에게 경제적으로 의존적이지만, 송유관 사용은 거의 없어서 미얀마는 재정적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 [5-8]
  • 인도-중국 관계 악화와 더불어 중국의 해군 역량 부족은 송유관을 통한 석유 수송을 어렵게 만든 주요 요인 중 하나다. [5-32]
  • 중국은 미래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전기차와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을 계획하고 있지만, 이는 완전히 실현되지 않았으며 시기도 예상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 [5-36]
5.3. 중국의 대만 침공 시나리오와 기술적 제약

00:15:40 (2분)

  • 중국이 대만을 침공해도 TSMC를 물리적으로 점령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5-43]
  • 성공적인 점령을 위해서는 인적 자원을 포함한 수많은 소프트웨어 자원들이 필요하다. [5-47]
  • 침공 시, 기술 인력은 미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으며, 기술적 이점을 잃게 될 것이다. [5-51]
  • 시진핑 주석은 경제 상황을 외부로 돌려 대내적 불만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5-55]
  • 군사적 침공은 최후의 수단으로 보고 있으며, 실제 전쟁보다는 대만의 혼란과 분열을 초래하려고 준비하고 있다. [5-58]
5.4. 대만 내부의 긴장과 심리전의 영향

00:17:48 (7분)

  • 대만 내부에서는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경제적으로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을 인정하고 있다 .[5-62]
  • 이란과 중국 사이의 송유관 건설은 국제 정세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추정된다 .[5-68]
  • 중국은 대만을 무력 침공하기보다 심리전을 통해 통일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으며, AEI와 ISW는 4단계의 심리전 작전을 소개하였다 .[5-104]
  • 많은 대만인들이 경제적 안정성을 위해 친중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를 중국은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5-124]
  • 심리적 불안을 통해 대만의 정책 방향에 영향을 주려는 심리전은 경제적 문제를 부각시키고, 대만인들을 친중으로 유도할 전략이 될 수 있다 .[5-140]
5.5. 중국의 전쟁 준비와 정치적 전략 예측

00:25:43 (3분)

  • 중국은 2029년에서 2031년 사이에 군사적 침공 준비를 마칠 것으로 예상된다. [5-143]
  • 중국은 2029년까지 반도체, 로보틱스, AI 자립을 완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는 군사 준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5-150]
  • 중국은 크림반도와 유사하게 대만을 점령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삼아 심리전을 활용할 계획이다. [5-157]
  • 미국과 대만 사이의 갈등 조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치적 이익을 고려하고 있으며, 시진핑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유리한 상황일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5-163]
  • 중국은 경제보다 권력 유지를 더 중요시하며 소프트 파워를 통해 대만을 점령하는 방법을 모색 중이다. [5-169]

6. 🇹🇼 대만 내 정치적 갈등 및 여론의 동향00:28:47 (9분)

  • 대만에서는 민진당과 국민당의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며, 국민당 의원들 중 일부가 친중 성향을 보이고 이는 대만의회에서 극심한 대립을 유발했다 .[6-2]
  • 민진당에서 총통이 배출되었지만, 대만의회는 국민당이 다수당으로 군사기밀 접근 권한을 확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6-10]
  • 국민당 내 친중성향 의원들로 인해 대만의 군사 기밀이 중국으로 유출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6-20]
  • 중국의 군사적 준비와 정치적 압박으로 인해 대만 내부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는 대만 국민들의 여론과 국제 정치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6-25]
  • 대만의 정치적 분열은 국제 무역 및 군사 전략에 대해 미국과 한국에 심각한 경제적, 안보적 도전 과제를 제기할 수 있다 .[6-32]

 

7. 결론 🌍 한국의 외교적 선택과 방향성00:38:27 (-28초)

  • 한국은 중국과 미국의 관계 속에서 외교적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7-3]
  • 네덜란드는 1차 세계대전 당시 중립을 유지하며 양측과 교역했지만, 한국은 역사적으로 그런 선택을 해 본 적이 없다. [7-5]
  •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은 한국에 유리했으나, 바이든 정부는 한국 공장을 미국에 유치하여 경제적 도전에 직면하게 했다. [7-40]
  • 트럼프가 다시 당선될 경우, 한국은 경제적 압박을 피하기 위해 창의적이고 실속 있는 외교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 [7-47]
  • 대한민국은 현재 경제적 손실을 막기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하며, 모든 관계자들이 모여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7-6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