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0대에 이런 생각하고 살면, 인생에 후회가 쌓여갑니다_By Lilys AI

by 꿈꾸는 투자자2 2024. 10. 19.
반응형

https://youtu.be/_mg7Go2nfDI?si=HH8J0geuhLgrErLA

목차
이 영상은 30대 미혼 여성의 결혼 부동산 투자에 대한 고민을 다루고 있습니다. 결혼 계획이 없는 상황에서 아파트 구매에 대한 두 가지 선택지, 즉 실거주용 아파트 구매와 갭투자에 대한 조언을 제공합니다. 결혼을 미루는 것이 아닌, 결혼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하도록 유도하며, 안정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부동산 투자에 대한 신중함과 결혼 상대를 찾는 과정에서의 변화를 이야기합니다. 결국, 결혼과 투자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자신의 미래를 고려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1]
핵심 용어더 보기
  • 결혼: 결혼은 두 사람이 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부부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서로의 삶을 함께 나누고 책임지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결혼은 사랑과 신뢰를 바탕으로 하며, 많은 ...

1. 💡 결혼 계획과 주거 선택에 대한 고민00:00:00

  • 30대 미혼 여성은 2억 6천만 원을 모았고, 세종시 아파트 실거주와 수도권 갭투자 사이에서 고민 중이다 .[1-2]
  • 3~4년 내 결혼 계획이 없지만, 결혼 계획을 세우지 않는 것은 본인만의 생각일 수 있으며, 미래는 예측할 수 없다고 조언한다 .[1-6]
  • 결혼 계획을 세우지 않고 커리어에 집중하는 것은 후회할 수 있으며, 안정감을 깨기 싫어하는 생각은 오만할 수 있다 .[1-21]
  • 결혼 상대가 정해진 후에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좋으며, 현재는 부동산을 구매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1-58]
  • 결혼과 투자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며, 결혼 계획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라고 권장한다 .[1-67]

 

2. 💡 결혼과 부동산 투자에 대한 현실적인 조언00:04:03

  • 최근 2030 세대의 결혼 선호도가 다시 증가하고 있으며, 결혼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늘어나고 있다 .[2-1]
  • 결혼 상대를 찾는 과정에서 외모와 성격에 대한 기준이 명확한 사람들이 오히려 매칭이 쉬운 경향이 있다 .[2-9]
  • 신생아 특례 대출을 받으면 생활이 한결 나아지지만, 원금을 덜 갚는다는 점에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2-46]
  • 그러나 대출을 통해 주거비가 해결되면 집에 돈을 쓰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경제적 계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63]
  • 특히 신혼부부는 아이가 어릴 때 돈이 많이 들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소비가 늘어나면서 경제적 부담이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2-70]

 

2.1. 💍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00:04:03

  • 최근 20대와 30대 사이에서 결혼에 대한 선호도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2-1]
  •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2-2]
  • 5년에서 10년 전에는 결혼을 절대 하지 않겠다고 말하던 사람들이 이제는 결혼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2-4]
  • 결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결혼을 해야 한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2-6]

2.2. 💬 결혼과 외모에 대한 고민00:04:20

  • 결혼을 빨리 하라는 조언과 함께, 소개팅에서 외모와 성격에 대한 고민이 반복된다고 한다 .[2-8]
  • 이상형이 명확한 사람들이 소개팅에서 더 쉽게 매칭된다고 한다 .[2-9]
  • 외모에 대한 기준이 애매한 사람들은 소개팅 주선이 어렵다고 한다 .[2-13]
  • 성격을 중요시한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결국 외모를 본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한다 .[2-17]
  • 갭투자 모임에서의 만남은 성공 확률이 낮고, 대부분 짝사랑으로 끝난다고 예상된다 .[2-35]

2.3. 🏡 신생아 특례와 부동산 대출의 영향00:06:59

  • 2년 전 결혼 후 전세로 살다가 신생아 특례를 받아 매매를 진행했다 .[2-42]
  • 신생아 특례를 받으면 대출 상환이 수월해져 생활이 한결 나아진다 .[2-47]
  • 일반 대출을 받으면 이자가 높고 원금 상환 부담이 크지만, 특례 대출은 원금 상환 부담이 적다 .[2-50]
  • 특례 대출을 받으면 주거비 부담이 줄어들지만, 그로 인해 불필요한 소비가 늘어날 수 있다 .[2-61]
  • 아이가 어릴 때 소비가 늘어나면, 앞으로의 지출을 예측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2-65]

2.4. 👶 신혼부부와 육아 비용의 현실00:09:54

  • 신혼부부들은 아이가 3, 4살 이하일 때는 생각보다 돈이 많이 들지 않는다고 말한다 .[2-70]
  • 아이를 예쁘게 입히고 SNS에 사진을 올리면서, 사람들의 칭찬에 기분이 좋아진다 .[2-71]
  • 그러면서 아이를 통해 인플루언서가 되거나 아이 모델을 시키려는 생각을 하며 소비가 증가한다 .[2-74]
  • 집의 인테리어에 신경을 쓰기 시작하며, 배경을 꾸미기 위해 가구와 조명을 구매한다 .[2-76]
  • 이러한 소비 패턴은 결국 주화인마에 빠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2-78]

2.5. ⚠️ 결혼과 부동산 투자에 대한 신중함의 필요성00:11:30

  • 결혼과 부동산 투자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신중해야 한다. [2-79]
  • 많은 사람들이 결혼과 부동산 투자에 대해 경솔하게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2-79]
  • 그러므로, 이러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충분한 고민과 조사가 필요하다. [2-79]
  • 결혼과 부동산 투자는 개인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79]
  • 따라서, 안정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2-79]

3. 🏠 대출 관리와 실거주 선택의 중요성00:11:34

  • 대출을 먼저 갚는 것이 추천되며, 이는 집값 대비 대출 비율(LTV)이 높기 때문이다 .[3-3]
  • 대출을 갚지 않으면, 자금을 잘 관리하지 못하고 소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3-9]
  • 실거주를 시작하면 투자 의욕이 급감하고, 생활의 안정감이 커진다 .[3-16]
  • 좋은 집에 살게 되면 사고방식이 변화하여, 경제적 목표보다는 현재의 행복을 중시하게 된다 .[3-19]
  • 결과적으로, 현재의 생활에 만족하게 되며, 소비와 자랑에 집중하게 된다 .[3-22]

 

4. 💡 소비 패턴과 경제적 안정에 대한 조언00:14:49

  • 많은 사람들이 젊은 시절에 돈을 많이 쓰고 후회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4-1]
  • 현재 저축률은 이자를 포함해 80% 정도이며, 어느 시점에서 멈춰야 하는지는 부부가 함께 결정해야 할 문제다 .[4-2]
  • 안 멈추고 고생을 더 하면 나중에 더 편해질 수 있으며, 이는 부부가 선택해야 할 문제다 .[4-7]
  • 버는 돈의 30%를 쓰는 7대 3의 법칙을 따르며, 더 좋은 것을 원한다면 더 벌면 된다는 생각으로 살아왔다 .[4-10]
  • 저축률을 지키면서 남은 돈을 투자하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나중에는 더 많은 생활비를 쓸 수 있는 상황이 올 수 있다 .[4-22]

 

5. 💡 미래 계획과 소비 습관에 대한 조언00:17:39

  • 결혼과 관련된 결정에는 정답이 없으며, 부부가 함께 잘 논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5-1]
  • 월 수입이 2천만 원일 경우, 어느 정도 소비하는 것이 맞다고 언급한다 .[5-4]
  • 수입의 80%를 저축하고 400만 원을 소비하는 것은 적게 쓰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5-7]
  • 수입의 70%만 저축하고 10%를 더 소비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제안한다 .[5-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