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건설2

"매출 5배 성장" 이런 주식은 지금이라도 사야죠...섹터별로 증시 맥을 짚어드릴게요 / 격월 이건규 10월호 (3부)_By Lilys AI https://youtu.be/s-TOCbrIs1k?si=StCiL9ydt-KUHpty타임라인1. 💄 화장품 섹터의 최근 동향2. 💡 화장품 섹터의 전망3. 💄 화장품과 전력기기 산업 전망4. 📈 방산주의 시장 전망과 성장 가능성5. 🛡️ 방산 업계의 성장과 전망6. 🍜 음식료 섹터의 트렌드와 전망7. 📈 주식 투자 관점 및 시장 분석8. 🏠 건설 섹터의 전망과 투자 전략9. 💊 제약 바이오 산업의 전망10. 💊 신약 및 바이오 주식 투자 유의사항11. 💡 투자 시 자산 배분의 중요성12. 📉 변동성 높은 시장에 대응하는 자세13. 🎯 주식 투자의 불안감과 인내 이번 영상에서는 주식 투자에 대한 여러 섹터의 전망을 분석합니다. 화장품, 방산, 음식료, 건설 및 제약 바이오 섹터에 .. 2024. 10. 9.
[건설]라진성 KTB투자증권_와이스트릿 https://youtu.be/7nnSPwp-l_I - 건설은 크게 국내 주택, 해외로 나눌수 있음 - 국내 주택은 당분간 좋을 듯(청약, 분양 등 영향) Q. 철근, 시멘트 등 건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건설사 수익성 영향은? A. 결론적으로는 수익성에 크게 영향 없을것 이라는 의견 이유는, 공공, 민간 모두 원자재 가격상승을 일부 전가할 수 있는 계약 조건이 있음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철근은 보통 연간계획의 비중이 큼 -> 연내 가격인상에 대한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을것 (보통 대형 건설사는 제강사와 직접계약, 유통사와 계약을 맺는 중소형 건설사는 영향이 더 클 수 있음) 다만 장기화 되는지는 중요함(내년에 단가계약 시 가격인상이 크게 될 수 있으니) 가격상승 이슈보다는 자재 수급이 어려워 공기를 못맞.. 2021. 6. 11.
728x90
반응형